본문 바로가기
생활, 노하우, 쇼핑

상생페이백 9월분, 415만명에게 2,414억 지급! 참여 방법·신청기한 총정리

by Money 머니 2025. 10. 23.
반응형

 

 

 

 

 

 

상생페이백 9월분, 415만명에게 2,414억 지급! 참여 방법·신청기한 총정리

 

소비자에게는 환급 혜택을 소상공인에게는 매출 증대를!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 중인 ‘상생페이백’ 사업이 9월분 지급을 완료했습니다.


이번 지급 규모는 415만명에게 총 2,414억 원, 1인당 평균 약 5만8천원 수준입니다. 그럼 이번 상생페이백 지급 결과와 신청 방법, 그리고 앞으로 받을 수 있는 혜택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1. 상생페이백이란 무엇일까?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한 소비 활성화 정책입니다.
지난해보다 카드 사용액이 늘어난 만큼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주는 제도예요.

  • 기 간 : 2024년 9월 ~ 11월
  • 대 상 : 만 19세 이상 국민
  • 혜 택 : 카드 소비 증가분의 20% 환급 (월 최대 10만원 한도)
  • 형 태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지급

즉, 작년보다 카드를 조금이라도 더 썼다면, 그 증가분의 일부를 돌려받을 수 있는 구조이며, 다만, 백화점, 아웃렛,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 대기업 계열 소비는 제외됩니다.

 

2. 9월분 지급 결과 한눈에 보기

 

중소벤처기업부는 10월 15일, 9월 소비 증가분을 기준으로 상생페이백 지급을 완료했습니다.

  • 총 신청자 수 : 1,058만 명
  • 지급 대상자 : 415만 명 (전체의 약 41%)
  • 총 지급액 : 2,414억 원
  • 1인당 평균 지급액 : 약 58,155원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자가 570만 명(54%)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6.4%), 경남(6.0%) 순으로 많았고, 연령대로는 30대(25.4%), 40대(24.8%), 50대(19.6%) 순이었습니다. 즉,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세대는 경제활동이 활발한 30~40대로 분석됩니다.

 

 

 

 

3. 1조 원이 넘는 소비 진작 효과

 

중기부는 이번 상생페이백으로 약 1조 2,070억 원의 소비 진작 효과가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실제 지급된 금액(2,414억 원)의 약 5배 수준으로,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중심의 내수 소비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 셈입니다.

 

단순한 ‘캐시백 정책’이 아니라, 대기업 중심의 소비가 아닌 중소상공인과 지역 상권을 살리는 구조라는 점이 상생페이백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

 

 

 

 

 

4. 아직 늦지 않았다! 지금도 신청 가능

 

혹시 “9월분 신청기간 놓쳤다”라고 생각하셨다면 걱정하지 마세요. 상생페이백은 11월 30일 자정까지 계속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홈페이지 : 상생페이백
신청 기간 : 2024년 11월 30일(토) 자정까지

 

상생페이백

소비로 함께하는 진짜 행복

xn--3h3bl7foc243a8lq.kr

 

 

만약 9월 소비 증가분이 있다면, 다음달 11월 15일에 지급되는 10월분 페이백에 함께 포함되어 받을 수 있습니다.

즉, 늦게 신청하더라도 이전 달의 소비 증가분까지 자동 반영된다는 점이 포인트입니다.

 

5. 상생페이백 계산 예시

 

쉽게 이해하기 위해 예시로 볼까요?

 

작년 9월 카드 소비액 : 80만 원
올해 9월 카드 소비액 : 100만 원

 

증가분 = 20만 원
환급금 = 20만 원 × 20% = 4만 원

 

이렇게 계산되어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4만 원을 받게 됩니다. 물론 월별 최대 환급 한도는 10만 원이므로, 많이 써도 한 달에 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은 10만 원입니다.

 

6. 어떤 소비가 인정될까?

 

상생페이백은 소상공인, 전통시장, 지역 상권 중심의 소비만 인정됩니다.

 

따라서 아래 항목은 제외 대상이니 꼭 유의하세요.

 

  • 백화점 / 아웃렛 / 대형마트
  • 온라인 쇼핑몰 (쿠팡, G마켓 등)
  • 유흥업소 / 세금 납부 / 보험료 / 병원비 / 교육비

 

반면 인정되는 소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전통시장, 골목상권, 동네마트, 음식점 등
  • 개인 사업자 매장 결제
  • 중소상공인 가맹점 중심의 카드 사용

 

7. 마무리 : 나의 소비가 지역을 살린다

 

상생페이백은 단순한 캐시백 제도가 아닙니다.


‘내가 쓴 돈’이 곧 소상공인의 매출로 이어지고, 그 결과 다시 국가 경제의 선순환으로 돌아오는 구조입니다.

 

매달 카드 사용액을 조금만 신경 써서 조정한다면,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을 받고, 그 상품권을 다시 시장에서 사용하며 선한 소비의 순환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번 달 카드 명세서를 확인해 보세요. 지난해보다 조금이라도 소비가 늘었다면, 그 자체로 환급 대상자가 될 수 있습니다.

 

신청 마감일은 11월 30일 자정! 놓치지 말고 꼭 참여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