훼손된 중요 기록물, 국가기록원이 무상으로 복원해드립니다
11월 21일(금)까지 ‘맞춤형 복원·복제 지원 서비스(2026~2027)’ 신청 접수
국가적으로 중요한 기록물이라면 공공·민간기관, 개인 소장자 누구나 신청 가능
역사적 가치가 높은 기록물, 이제 국가기록원에서 무상으로 복원받을 수 있습니다. 행정안전부 산하 국가기록원은 2026년부터 2027년까지 ‘맞춤형 복원·복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서비스는 민간·공공기관이나 개인이 소장한 훼손 기록물을 대상으로 하며, 복원과 디지털화를 포함한 종합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훼손 기록물, 방치하지 말고 복원하세요
근현대 종이 기록물은 빛, 온도, 습도 등 외부 환경에 의해 훼손되기 쉽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관이나 개인은 전문 복원 인력과 장비 부족으로 인해, 가치 있는 기록물이 방치되거나 활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국가기록원은 2008년부터 민·관 대상 맞춤형 복원·복제 지원 서비스를 운영하며, 훼손 기록물 발굴과 기록 관리 중요성 인식을 높이고 있습니다.
2. 맞춤형 복원·복제 지원 서비스 주요 내용
이번 지원 서비스는 단순 복원을 넘어 디지털 복원까지 확대되어, 글자가 휘발되거나 탈색되어 판독이 어려운 기록물도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주요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록물 복원 및 고해상도 디지털 파일 제공
- 기록물 훼손 상태 정밀 진단
- 점검·보존용 중성 상자 제작
- 기록물 보존관리 컨설팅
- 보존환경 점검
- 기록물 취급법 안내
복원된 기록물은 연구, 전시, 열람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 가능하며, 디지털화된 자료는 장기 보존과 공유에도 활용됩니다.
3. 신청 대상과 방법
- 대상 : 공공기관, 민간기관, 개인 소장자 누구나 신청 가능
- 신청 기간 : 2025년 10월 1일(수) ~ 11월 21일(금)
- 신청 방법 : 우편 또는 전자우편 제출
- 신청서 양식 및 상세 안내 : 국가기록포털
접수된 기록물은 복원 대상 선정심의위원회에서 역사적 가치, 훼손 정도, 활용도를 종합 평가하여 최종 지원 대상이 선정됩니다.
4. 복원 절차와 결과
최종 선정된 기록물은 2026~2027년 동안 순차적으로 복원되며, 복원 완료 후에는 소장처에 전달됩니다. 또한 국가기록원 누리집에 복원 완료 기록물 관련 정보와 원본 이미지가 게시되어 누구나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주요 복원 사례
국가기록원은 2008년부터 현재까지 총 80개 기관 및 개인소장 기록물 9,141매를 복원 및 복제 지원했습니다. 대표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3·1 독립선언서 (독립기념관 소장)
- 조선말 큰사전 원고
- 신제여지전도 (독도 지도, 독도박물관 소장)
- 손기정 선수 베를린올림픽 우승상장 (손기정기념관 소장)
- 미사일록 (한미 외교 관련 기록물, 단국대박물관 소장)
복원을 통해, 기존에는 훼손이 심해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던 기록물이 국가등록문화유산, 지방 유형문화유산 등으로 지정되기도 했습니다.
- 조선말 큰사전 원고: 2020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지정
- 이육사 친필 편지 및 엽서: 2022년 국가등록문화유산 지정
- 미사일록: 2023년 국가등록문화유산 지정
- 삼계강사계안: 2021년 전북도 유형문화유산 지정
6. 국가기록원의 목표
이용철 국가기록원장은 “복원 완료된 기록물의 디지털화를 통해 원문 이미지를 확보함으로써, 복원·복제에 어려움을 겪는 기관에서도 역사적 가치가 높은 기록물이 더 많이 발굴·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서비스는 훼손 기록물을 새 생명을 불어넣고, 연구·전시·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7. 정 리
- 대상: 공공기관, 민간기관, 개인 소장 기록물
- 기간: 2026~2027년, 신청 접수 10/1~11/21
- 지원 내용: 복원, 디지털 복원, 고해상도 파일 제공, 보존 컨설팅 등
- 신청 방법: 우편/전자우편, 국가기록포털 확인
'지식,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평등가족부, 아이돌봄서비스 이용 불편 완화 조치 (0) | 2025.10.01 |
---|---|
검찰개혁추진단 공식 출범, 검찰개혁 후속조치 본격 추진 (0) | 2025.10.01 |
화상 꿈 해몽 총정리 — 상황별·부위별·길흉별 의미 (0) | 2025.10.01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국민 피해와 원인 분석 그리고 재발방지 대책 (0) | 2025.10.01 |
한국노총, 주4.5일제·정년연장·교원 정치기본권 요구 - 2025 노동정책 동향 (0) | 2025.09.29 |